deadPXsociety

삶은 다른 곳에_그럼 어디에? 본문

삶은 다른 곳에_그럼 어디에?

WiredHusky 2016. 1. 17. 10:09






나는 한 번도 해외 여행을 꿈꿔본 적이 없다. 스페인의 태양도 아이슬란드의 얼음도 프랑스에 대한 낭만적 환상도 내게는 아무런, 정말로 아무런 감흥을 주지 못했다. 그랬던 나에게 해외로 떠나야만 하는 강력한 이유를 제공한 이가 있었으니 그게 바로 밀란 쿤데라다. 이유는 알 수 없다. 쿤데라 전집을 손에 든 순간 그런 생각이 쏜 살 같이 머리를 지나갔다. 여행을 떠나 가장 유명한 서점에 들러 내가 사랑하는 작가의 책을 원서로 구입해 돌아오는 것이다. 러시아에서 시작한 내 여행은 체홉의 단편을 들고 폴란드로 떠난다. 그곳에서 아이작 B. 싱어의 <쇼샤>를 품에 안고 체코로. 바로 거기서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을 사는 것이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을 읽어본 사람은 알겠지만 쿤데라의 장기는 숨쉴 틈 없이 빽빽히 들어찬 허무의 박력이다. 존재가 가벼울 수록 허무의 무게는 큰 법. 인간이 꿀 수 있는 가장 원대한 꿈이었던 공산주의의 부패와 타락, 폭력을 몸으로 느낀자만이 가질 수 있는 능력이리라.


자기 삶의 진심을 듣지 못하는 사람에겐 늘 허무가 찾아온다. 그리고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인간은 다른 삶을 찾아 떠난다. 언제나 <삶은 다른 곳에>. 주인공 야로밀의 어머니는 야로밀을 잉태하는 순간 그 아이가 자기 삶의 구멍을 메워줄 유일한 존재라고 생각한다. 남편은 야로밀의 존재를 눈치 챈 순간 그것을 조용해 제거해 줄 사람을 안다며 비겁한 제안을 한다. 사랑! 육체적 욕망을 탕진하고 나면 무서운 속도로 쪼그라들고마는 이 더러운 감정은 역시 인생의 허무를 메울 만한 재목이 아니다. 그래서 어머니는 좀 더 고차원의 사랑, 즉 야로밀에게 자기의 삶을 온전히 던져 넣는다.


"야로밀이 처음으로 단어 하나를 발음했을 때 그리고 그 단어가 엄마였을 때 그녀는 미칠듯이 행복했다. 아직은 단 하나의 유일한 개념으로 이루어진 아들의 두뇌에 오로지 자기만이 들어가 있다고, 그리고 이제 이 두뇌는 점점 자라나 가지를 치고 풍요로워질 테지만 그 뿌리에는 언제나 자신이 남아 있게 될 거라고 그녀는 생각했다."(p.24) 그리하여 그녀는 석류빛 수첩을 하나 사서는 아들의 입에서 나오는 모든 단어를 기록하기 시작한다. 우리는 이 사랑의 대가로 조만간 절망이 지급될 거란 사실을 안다. 왜? 야로밀에게도 삶을 찾아 떠날 이유, 어머니가 남편을 거쳐 야로밀에게 안착했듯 야로밀 또한 어머니를 거쳐 다른 여자의 품에 안길 것이기 때문이다. 사랑! 자신이 오래 전 깨달았으나 결코 그 깨달음을 전해줄 수는 없는 그 더러운 감정의 흐름을 쫓아 야로밀은 떠나리라. 그리하면 어머니는 또 어디에서 자기의 삶을 찾을 수 있을까?


어머니의 사랑으로 야로밀은 태어날 때 부터 시인이었다. 야로밀은 자신이 시인을 흉내낼 때 엄마가 행복해 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리하여 그는 시인으로 성장한다. 하지만 진짜 시인이 되기에는 한 여자의 사랑만으로는 부족하다. 이 깨달음으로 인해 시인으로서의 자아는 위축 된다. 그 공백을 메우는 건? 바로 혁명이다. 야로밀은 철저한 혁명가가 되어 자기와 함께 육체적 욕망을 탕진하던 여자의 오빠를 반체제 행위로 고발하기 까지 한다. 이 철저함으로 야로밀은 자기 앞에 새롭게 나타난 흑발의 매력적인 영화학도를 차지할 수 있을 거라 믿었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 꿈은 박살나고 만다. 야로밀은 예술가들이 모이는 파티에 시인이자 혁명가로 참석한다. 그는 거기서 한 남자와 가벼운 논쟁을 벌였는데 그것이 결국 육체적 싸움으로 번져 싸늘한 한기가 올라오는 발코니 바닥에 내던져진다. 모든 이의 웃음거리가 된 야로밀. 그는 죽음만이 자신의 복수를 해줄 수 있다고 생각해 바닥에서 올라오는 냉기를 온 몸으로 받아들인다. 집으로 돌아온 야로밀은 폐렴으로 목숨을 잃는다.


<삶은 다른 곳에>는 파랑새는 자기 집 앞마당에 앉아 있다는 진부한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걸까? 글쎄, 쿤데라의 작품엔 어디에도 안식이 없다는 서늘한 허무의 냄새가 코를 찌른다. 에밀 아자르가 <자기 앞의 생>에서 비록 삶이 자기와의 동의도 없이 무차별적으로 할당된 의무지만 그래도 사랑을 하며 꿋꿋이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말한다면 쿤데라는 영원히 방황하는 방랑자의 삶을 그려낸다. 무엇이 더 좋은지는 각자의 판단이겠지만 가장 좋은 건 두 가지 모두를 가슴에 안는 것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