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dPXsociety

탱고 인 부에노스 아이레스 본문

탱고 인 부에노스 아이레스

WiredHusky 2012. 5. 12. 16:06




부에노스 아이레스. 리오넬 메시. 보르헤스. 그리고 왕가위. 나에게 부에노스 아이레스는 축구의 나라였고 보르헤스의 도시였으며 왕가위의 고독이었다. 이 책을 읽고 난 뒤 난 이 도시에 한 가지를 더 추가해야 함을 깨달았다. 그것은 땅고.

두 남녀를 보라. 나른하게 달아오른 조명 아래 잔뜩 긴장한 상체가 물흐를 틈도 없이 밀착해 있다. 두 사람은 지금 서로의 심장 소리를 듣는다. 검은 양복에 머리를 빗어 넘긴 남자는 그 시원하게 드리운 이마처럼 자신감에 넘쳐 흐른다. 여자는 이미 남자에게 몸을 맡긴 뒤다. 부풀어 오르는 감정에 고개는 젖혀지고 두 팔은 남자의 얼굴과 어깨를 꼭 안아 쥔다. 두 다리를 수줍게 포개어 몸을 뒤트는 순간 남자의 손이 아슬아슬하게 여자의 다리를 훑고 지나간다. 



이것이 바로 탱고다. 사랑의 격정과 황홀의 순간을 노골적으로, 솔직하게, 그리고 정열적으로 표현해 내는 춤. 이 사랑이 이토록 격정적일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두 남녀가 이별을 예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탱고 한 곡은 보통 3분 내외이며 길어야 5분이다. 3분 후면 그들은 떨어지는 것이다. (중략) 3분이든 30년이든 똑같다. 탱고나 인생이나 다를 바 없다. 언젠가 상대는 떠난다. 그러므로 이별을 전제로 한 춤에서 그들은 정열적일 수 밖에 없다. 끝을 알고 하는 사랑이니, 그렇게 안타까운 것이다.(37p)

탱고는 원래 부두 노동자들의 춤이였다고 한다. 아르헨티나에 경제 부흥의 바람이 불던 시절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항구에는 스페인, 프랑스, 독일 등지에서 떠나온 청년들로 가득찼다. 그들은 정든 고향을 떠나 지구 반대편으로 건너왔다. 매일밤 시달리는 향수는 말할 것도 없지. 청년들은 허기진 마음을 채우기 위해 사창가를 찾고 독한 술을 마시지만 어디 영혼의 굶주림이 물질로 채워질 수 있겠는가. 사무치는 고독에 그들은 동변상련의 몸둥이를 부둥켜 안고 서로의 외로움을 치유했던 것이다.



탱고가 춤이라면 그것은 또한 음악이기도 했다. 탱고 음악을 모르는 사람들이라도 그것을 듣고 나면 '아 이게 탱고였구나'라고 할 정도로 유명한 곡이 있다. 알파치노 주연의 '여인의 향기'에 나온 바로 그 음악. 그 강렬한 선율 때문에 한 번 듣고 나면 잊을래야 잊을 수가 없는 곡이다. 

탱고 음악은 물론 탱고 춤을 추기 위한 음악이었다. 기타와 바이올린과 이동식 피아노로 구성된 밴드는 역시 빈민층의 음악 답게 조촐하고 애잔했다. 탱고의 양식은 표현력과 이동성에서 확고한 우위를 보였던 반도네온이 밴드의 중심을 차지하면서 부터 확실히 자리잡기 시작한 모양인데 독일 이민자들의 손에 들려온 이 악기는 원래 찬송가 반주를 위해 만들어졌다. 싼 가격과 휴대성 때문에 개신교 보급에 큰 역할을 한 이 악기는 지구를 반대편에 있는 부에노스 아이레스까지 날아와 또 하나의 '붐'에 불을 붙인 셈이다. 바로 '탱고'라는 붐 말이다. 

20세기 초 우연히 프랑스에서 발매된 탱고 음반은 이 이민자들의 음악을 전세계로 알리는 기회가 됐다. 그리고 이 인기는 예상치 않은 결과를 얻어냈다. 바로 아르헨티나 사회의 극심한 양극화를 어느 정도 봉합하는 구실을 한 것이다.

말했다시피 탱고는 부두의 노동자, 보잘것없는 하층민의 음악이자 춤이었다. 상류층은 이 춤과 음악을 지저분하고 퇴폐적인 문화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이 음악이 프랑스에서 큰 인기를 얻자 그들의 생각이 바뀐 것이다. 근대 초기의 전형적인 부르주아 답게 아르헨티나의 상류층들은 유럽 문화라면 무조건 숭배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니 자연스럽게 탱고도 받아들일 수 밖에. 이 우스꽝스러운 현상은 사람의 편견이라는게 얼마나 폭력적이고 견고한지, 또 그것이 얼마나 쉽게 무너질 수 있는지 깨닫게 한다. 무력과 피가 아닌 음악으로 하나가 되는 세상. 우리는 언제쯤 이 꿈을 이룰 수 있을까?



부에노스 아이레스에는 여전히 많은 탱고바가 있다고 한다. 사람들은 그곳에서 말벡 와인을 마시고 두꺼운 스테이크를(아르헨티나는 소고기가 유명한데 인구 3천만인 이 나라는 소가 6천만 마리라고 한다) 먹으며 탱고의 기에 젖어든다. 

창 밖 거리에는 외로운 가로등이 홀로 불을 밝히고, 어둠 속에선 두 남녀가 서로의 몸을 밀치며 마치 고독의 뿌리를 뽑아 버리려는 듯 뜨거운 땀방울을 쏟아 낸다. 가슴을 저미며 울리는 반도네온과 바이올린의 울음. 콘트라베이스의 육중한 울림은 끝내 우리를 고독의 심해로 끌고 내려가려는 바위추다.

책을 읽는 내내 탱고를 듣고 싶어서 견딜 수 없었다. 눈에 아른거리는 사랑, 그 떨림을.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