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Product Design
- 램프
- 프로덕디자인
- 프로덕트디자인리서치
- 킥스타터
- 피규어
- 조명기구
- 신자유주의
- 미술·디자인
- 글쓰기
- 조명
- 가구 디자인
- 조명 디자인
- 인테리어 사진
- 재미있는 광고
- 해외 가구
- 인스톨레이션
- 진중권
- 북유럽 인테리어
- 주방용품
- 조명디자인
- 아트 토이
- 애플
- 일러스트레이션
- 가구
- 가구디자인
- 피규어 디자이너
- 일러스트레이터
- 인테리어 소품
- 인테리어 조명
- Today
- Total
목록행동 경제학 (2)
deadPXsociety

행동 경제학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내가 사람의 행동을 마음대로 조종하고 싶어 하는 구제불능의 소시오패스기 때문이다,라고 하는 건 48.6% 맞는 말이고, 사실 예전부터 비주류 학문의 혁신 이론들에 크게 마음을 빼앗겼기 때문이다. 남들이 믿어 의심치 않는 통념에 알 수 없는 부아가 치밀어 깽판을 치고 싶은 청개구리의 마음이랄까. 아무튼 너무 많은 사람들이 무언가를 당연하게 생각할수록 그것이 틀렸다는 걸 증명하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바쳐왔던 기억이다. 물론 괴벽에 따른 선호기는 하지만 보통 사람이라도 이 분야에 한번 발을 디디면 서서히 스며들어 결국 헤어 나올 수 없는 매력을 지닌 게 바로 행동 경제학이다. 모두가 Yes라고 할 때 큰 소리로 No를 외치는 과감한 판단은 과연 세상의 이치를 꿰뚫는 놀라운 이..
*책 얘기는 하나도 없어요. 사야 하나 말아야 하나에 대해 어떤 도움도 줄 수 없습니다. 나는 이 사람들의 책을 거슬러 읽고 있다. 형만한 아우 없다는 옛말을 상기 시키기라도 하듯 책이 점점 재밌어진다. 이 책이 세상을 바라보는 방법은 나의 인식 태도와 거의 비슷하다. 인간은 선한 본성을 지니지 않으며 매우 비이성적이다. 그런 인간들이 바글대는 세상도 마찬가지. 은 외환 위기, 경제부흥, 환율, 이자율 따위를 연구하는 거시 경제학 책이 아니다. 인간이 왜, 무엇을 선택하느냐에 관심을 갖는다. 일명 미시 경제학. 좀 더 트렌디하게 말하면 행동 경제학에 가깝다. 다행히 나도 이 질문에 관심에 많다. 인간이 어떤 상황에서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를 잘 예측하는 정도로 연봉이 결정되는 직업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