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조명 디자인
- 킥스타터
- 북유럽 인테리어
- 램프
- 신자유주의
- 일러스트레이터
- 재미있는 광고
- 주방용품
- 가구
- 애플
- 가구디자인
- 조명기구
- 프로덕디자인
- 인테리어 조명
- Product Design
- 조명
- 아트 토이
- 피규어
- 인스톨레이션
- 해외 가구
- 미술·디자인
- 인테리어 사진
- 가구 디자인
- 조명디자인
- 인테리어 소품
- 진중권
- 프로덕트디자인리서치
- 피규어 디자이너
- 일러스트레이션
- 글쓰기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건축이냐 혁명이냐 (1)
deadPXsociety
나는 이 책을 읽고 나에게 문학을 해석할 틀이 전혀 없음을 깨달았다. 뒤늦은 깨달음이긴 하지만 어렴풋이 인지해온 바이기도 하니 공공연하게 떠돌던 구조조정 소문이 공식적으로 발표된 거라고 보면 된다. 나는, 지금껏, 문맹이었다. 해석의 틀이 없다는 건 독자일 때보다 쓰는 사람일 때 더 치명적이다. 소설은 그냥 이야기로 끝나선 안 되니까. 이야기 속에 뭔가를 담아야 하는데 틀이 없으면 차곡차곡 일관성 있게 담기지 않는다. 그래서 내 글은 구멍 투성이. 곰곰히 들여다보면 엉터리 방터리다. 어찌해야하나? 고민이다. 앞으로는 평론을 좀 읽어볼까 싶다. 틀을 짜는 법을 배우면 이야기 짓기가 지금보다는 훨씬 쉬워질지 모른다. 을 구매 결정하는데까지는 1분도 걸리지 않았다. 우선 대상 수상자가 83년생이다. 자극이 됐..
책
2015. 8. 2. 0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