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조명디자인
- 인스톨레이션
- 미술·디자인
- 프로덕트디자인리서치
- 아트 토이
- 신자유주의
- 북유럽 인테리어
- 피규어 디자이너
- 조명기구
- 프로덕디자인
- 글쓰기
- 조명
- 재미있는 광고
- 진중권
- 주방용품
- 가구디자인
- 조명 디자인
- 램프
- 피규어
- 인테리어 조명
- 일러스트레이션
- 가구
- 애플
- 가구 디자인
- 킥스타터
- 일러스트레이터
- 해외 가구
- 인테리어 사진
- Product Design
- 인테리어 소품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나의 한국 현대사 독후감 (1)
deadPXsociety
나는 유시민에게 항상 두 개의 감정을 갖는다. 그는 1959년에 태어나 스무살 때 독재자의 죽음을 경험했고 뒤이어 나타난 독재자와 싸우는데 그 이십대 전부를 할애했다. 민주화는 *1989년에 성공했지만 그의 승리는 **2003년이 되서야 찾아온다. 나는 그와 함께 승리를 만끽했다. 유시민은 2003년 노무현 정부의 중요 내각으로 참여한다. 그리고 한미 FTA 체결에 핵심 역할을 한다. 물론 그 때의 FTA는 지금의 FTA처럼 독소 조항이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FTA(신자유주의)같은 보수적 가치를 왜 진보 정권이 앞장서 체결하려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 훗날 유시민은 ***어차피 막을 수 없는 흐름이었기에 그 흐름 속에서 최대한 이득을 얻기 위해 노력한 결과물이 당시의 FTA라고 변명한 바 있다...
책
2015. 3. 22. 1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