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인테리어 사진
- 아트 토이
- 피규어 디자이너
- 재미있는 광고
- 피규어
- 해외 가구
- 가구 디자인
- 조명
- 인테리어 조명
- 가구디자인
- 인테리어 소품
- 글쓰기
- 인스톨레이션
- 북유럽 인테리어
- 램프
- 진중권
- 프로덕디자인
- 일러스트레이터
- 신자유주의
- Product Design
- 킥스타터
- 프로덕트디자인리서치
- 일러스트레이션
- 주방용품
- 애플
- 조명기구
- 조명 디자인
- 조명디자인
- 미술·디자인
- 가구
- Today
- Total
목록인식론 (2)
deadPXsociety
1868년, 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통해 동양 역사상 최초의 근대 자본주의 국가가 되었다. 근대 자본주의 국가가 된 일본은 함대를 구성해 당시 무적이라 불리던 러시아 발틱 함대를 쳐부쉈다. 그리고는 제로센 비행기를 만들어 진주만을 습격했다. 이 일로 일본은 아시아를 넘어 세계 최강국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메이지 유신이 있은지 70년 만의 일이다. 이걸로 아시아의 많은 나라들이 근대 자본주의 국가란 것의 위력을 뼈저리게 실감했다. 공자왈 맹자왈로는 굶주린 백성을 구하고 외세의 침략을 막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고, 이로써 수 천년간 지배해오던 사고방식과 전통은 근대화의 쓰나미에 휩쓸려 폐허의 잔해가 되어 버렸다. 대한민국을 아시아의 네 마리 용으로, 한강의 기적으로 만든것도 이 근대화의 쓰나미 덕분..
대학 시절, 철학의 이해라는 수업의 중간 고사 시험 문제로 'Cogito ergo sum'을 비판하라는 문제가 나왔다. 그때 내가 썼던 답안은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였다.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로부터 오랜 시간이 지난 오늘, 나는 또 한번 'Cogito ergo sum'을 만난다. 여전히 쉽지 않은 문제지만 이제는 나도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만은 않다. 정말? 솔직히 고백하면, 이 책을 두 번이나 정독한 지금도 난 이 말의 정확한 의미를 모르겠다. 'Cogito ergo sum'이란 르네 데카르트 철학의 정수이며 그 짧은 길이에도 불구하고 이후의 서양 근대 철학사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 고농축 선언이다. 이 말을 완벽히 이해하고 논박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대학 강의와 저술만으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