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신자유주의
- 프로덕디자인
- 가구
- 진중권
- 주방용품
- 조명기구
- 인테리어 조명
- 가구 디자인
- 피규어 디자이너
- 킥스타터
- 일러스트레이터
- 램프
- 해외 가구
- 북유럽 인테리어
- 조명
- 피규어
- 재미있는 광고
- 인스톨레이션
- 인테리어 사진
- 조명디자인
- 프로덕트디자인리서치
- 아트 토이
- 글쓰기
- 조명 디자인
- Product Design
- 미술·디자인
- 일러스트레이션
- 애플
- 가구디자인
- 인테리어 소품
- Today
- Total
목록병자호란 (2)
deadPXsociety
우암 송시열이라고 들어봤는지 모르겠다. 뭐 조선 시대 어디메쯤 살단 간 양반이겠지, 시큰둥하게 넘어갈려다가도 '당쟁의 대가'라는 말을 듣게 되면 반사적으로 고개를 돌리게 된다. 나라를 망하게 한 사람이구나. 이렇게 생각했다면 당신은 현대의 치열한 경쟁사회를 살아갈 자격이 없다. 아, 정치의 신! 거침없이 정적을 물어뜯고 물 흐르듯 처신하여 자기 자리를 지키는 법을 배워야겠다. 굶고 싶지 않다면 바로 이런 자세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우암 송시열로 말할 것 같으면, 인조를 거쳐 효종, 현종, 숙종에 이르기까지 무려 네 명의 임금을 섬기며 수 십년간 조정의 거두로 머물렀음에도 처세와는 거리가 먼 뻣뻣한 인물이었다. 그는 싸움을 알아도 물러섬은 몰랐다. 그는 왕조차 두려워하지 않았기에 도리어 왕으로 하여금 두..
인조 14년, 후금의 태종이 황제를 칭하고 국호를 청으로 바꿨다. 조선에 군신지국의 예를 요구했다. 대의의 나라 조선, 기개가 높았으나 말이 더 높아 창검이 아닌 혀로 싸우는 나라. 조선의 임금이 8도에 임전태세를 명해 결전을 다짐하자 후금의 태종은 몸소 20만 대군을 이끌고 조선으로 향한다. 북방의 칼바람에 단련된 철병에겐 조선의 겨울이 낯을 간지르는 미풍에 불과했었나 보다. 압록강을 넘은지 12일째, 서울이 점령 당했다. 임금은 강화도로 피난하려 했으나 그 길 또한 막혀 있었다. 사대부와 약간의 관군, 도처에서 모여든 향병을 이끌고 인조는 남한산성에 둥지를 튼다. 개전 14일째, '임금은 남한산성에 있었다.' 예조판서 김상헌은 화친을 거부했다. 임금의 성은은 높았고 야만국의 황제는 비천했다. 각도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