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dPXsociety

카키스토크라시 본문

카키스토크라시

WiredHusky 2021. 5. 9. 11:49

카키스토크라시란 못된, 악한 등을 뜻하는 그리스어 kakos의 최상급 kakistos와 권력, 통치를 뜻하는 cracy의 합성어다. 쉽게 말해 개똥 같은 인간들이 지배하는 국가를 의미한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이 책은 전 세계에 만연한 빈부격차, 그리고 그것을 유지하려는 부자들의 탐욕과 비도덕성에 피를 토하는 책이다. 작가는 1963년생의 한국 남자로 초등학교 때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그래서 미국의 역사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하는데, 총 5부로 구성된 책에서 3부 한 장을 통째로 도널드 트럼프에게 할애하기도 한다. 사실 카키스토스란 말 자체를 그를 위해 준비한 게 아닌가 싶다.

 

자연으로 돌아가라고 외쳤던 루소는 정치체제를 민주정, 귀족정, 그리고 군주정으로 구분했다. 루소의 민주정은 국민 전체가 정치에 참여하는 것이었는데 이 같은 이상을 실현하는 국가는 역사상 존재한 적이 없다. 민주정이란 현재 대의민주제와 거의 동일시된다. 국민을 대표하는 직업 정치인을 선거로 뽑아 정치를 대리하는 것이다. 민주정은 다시 사회의 생산물과 생산 수단을 어떻게 배분하느냐에 따라 공산주의와 사회주의로 나눌 수도 있는데, 둘은 비슷해 보이지만 공산주의는 결과물을, 사회주의는 생산 수단을 공유한다는 데서 큰 차이가 있다. 하지만 이렇게 복잡한 구분은 오늘날 아무런 쓸모가 없다. 우리는 모두 '자본주의'의 시대를 살기 때문이다.

 

 

민주주의는 결코 자본주의가 아니다. 그러나 자본의 막강한 힘은 정치의 색깔을 모조리 지워버렸다. 한때 인류는 세계를 왼쪽으로 끌고 가려는 세력과 오른쪽으로 밀고 가려는 세력을 가진 적이 있다. 그러나 현재는 온 힘을 다해 오른쪽으로 미는 집단과 적당히 미는 집단이 있을 뿐이다. 국가를 다스리는 건 정치가 아니라 돈이다. 우리는 법 앞에서 평등한 게 아니라 돈 앞에서 평등하다.

 

오늘날 돈의 힘을 제어할 수 있는 집단은 없다.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전 세계 경제가 침몰 직전까지 갔음에도 월스트리트의 CEO 중 감옥에 간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오히려 그들은 구제 금융을 받아 자기 자신에게 막대한 성과급을 지급했고 금융 규제를 막으려는 로비에 사용했다. 정치인들은 돈 앞에서 무력할 수밖에 없었는데 선거에서 이기려면 이들이 기부하는 정치 자금이 절실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들을 막아줄 최후의 보루인 시민마저 돈에 중독이 됐다는 것이다. 미디어는 시종일관 부를 우상화함으로써 돈만 있으면 최고라는 기풍을 대중문화에 깊숙이 퍼뜨렸다. 어느샌가 우리도 '돈만 많으면 형'이라는 말을 부끄럼 없이 하게 되지 않았는가?

 

하지만 미국 사회가 kakos에서 kakistos로 진화하게 된 결정적 계기는 부패라는 말이 머쓱해질 정도로 압도적인 개망나니의 등장에 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과 거짓말로 국민을 이간질하고 사이다로 대변되는 자극적 언행으로 팬덤을 형성해 범법을 일상화하는 상상초월의 인물. 금융과 산업계의 부자들은 이런 인물에게 풀베팅을 함으로써 부자 감세를 가속화했다. 공유와 소통을 가치로 내걸던 최신 미디어들은 거짓 뉴스를 전파하는 도구로 전락해버렸다.

 

이는 비단 미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각도의 차이는 있을망정 대한민국도 동일한 목적지를 향해가는 선로 위를 달리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시스템을 미국에서 빌려왔고, 그들을 선진 사회의 표준으로 받아들이는 한국이니 미국의 현재가 곧 한국의 미래라고 믿을만한 근거가 충분하지 않겠는가.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더 늦기 전에 코인이나 해서 기차의 앞칸으로 옮기는 것만이 답일까?

 

<카키스토크라시>는 현실을 첨예하게 기술하지만 그 원인을 파헤치고 극복 방안을 제시하는 데는 다소 아쉬움이 있는 책이다. 게다가 문제의 초점이 부패한 권력층에 맞춰지다 보니 역설적으로 문제의 해결이 우리의 노력과는 무관하다는 인상까지 주곤 한다. 이런 생각은 그저 이 모든 상황을 한방에 해결해줄 메시아의 도래만 기다리는 소극적 사회를 만들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같은 사기꾼은 오히려 이런 토양에서 탄생한다.

 

역사적으로 국가의 위기는 정치에 무관심한 서민과 계층 상승의 꿈만 꾸며 체제에 안주하려는 중산층의 비겁함, 그리고 이 모든 것을 영민하게 이용하는 정치인의 등장으로 완성된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각자의 자리에서,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심각하게 고민해봐야 한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라이턴 록  (0) 2021.05.23
백년 식사  (0) 2021.05.16
공무원 생리학  (0) 2021.05.02
예루살렘 해변  (0) 2021.04.25
괴물, 조선의 또 다른 풍경  (0) 2021.04.1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