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글쓰기
- 미술·디자인
- 인테리어 사진
- 아트 토이
- 가구디자인
- 일러스트레이터
- 조명기구
- 인테리어 소품
- 피규어 디자이너
- 피규어
- 북유럽 인테리어
- 조명디자인
- 램프
- 인테리어 조명
- 조명 디자인
- Product Design
- 재미있는 광고
- 가구 디자인
- 가구
- 인스톨레이션
- 신자유주의
- 프로덕트디자인리서치
- 일러스트레이션
- 진중권
- 킥스타터
- 주방용품
- 조명
- 프로덕디자인
- 해외 가구
- 애플
- Today
- Total
목록2024/05 (4)
deadPXsociety
올해는 좋은 소설을 많이 만난다. 그중에서도 이 책은 산다는 게 무엇인지, 생의 진리가 어디에서 솟아나는지 알려주는 따뜻한 소설이다. 가족이란 정말 지긋지긋한 존재다. 우리가 살면서 맺는 수많은 인간관계는, 원한다면 얼마든지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는 임의적 관계다. 하지만 가족은 숙명이다. 아무리 자르고 갈고닦아도 핏줄은 지울 수가 없다. 그래서 핏줄은 남보다 못한 경우가 많다. 내가 아무리 못해도 끊어지지가 않기 때문이다. 전직 빨치산이었던 내 아버지 고상욱 씨는 이십 년 가까운 감옥살이를 마친 뒤 자본주의의 중심 서울로 향하지 않고 버스도 다니지 않는, 심지어 전기도 들어오지 않는 고향에 터를 잡았다(p.8). 대한민국에서 빨간 물이 한 번 든 인간은 더 이상 인간일 수 없었다. 문제는 이 낙인이 ..
광자의 이중슬릿 실험이 밝혀낸 양자의 이중성은 양자역학을 난해하게 만드는 주범이다. 이 실험은 입자이면서 동시에 파동인 양자가 관측 행위의 여부에 따라 입자 혹은 파동으로 존재한다는 놀라운 사실을 밝혀냈다. 이 결과는 아무리 읽어도 읽어도 놀라워서 도대체 어떻게 이게 가능한 거지?라는 의문은 좀처럼 사라지지 않는다. 그러나, 오늘 소개할 실험은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간다. 파인먼의 지도 교수이기도 했던 존 아치몬드 휠러는 맨해튼 프로젝트에 합류하기 전 닐스 보어와 함께 핵분열을 연구했고, 1950년대에는 프린스턴대학교에서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을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1970년대 말에 휠러는 아주 창의적인 사고실험을 고안했다. "이 실험은 관측자의 행위가 아주 미묘한 과정을 거쳐 머나먼 과거까지 도..
평범한 아저씨 주제에 과학자의 이름을 들으면 마음이 설렌다. 무슨 말인지 이해도 못하고, 최선을 다해도 고작 쓰여 있는 얘기를 되풀이하는 수준이면서, 기회가 될 때마다 과학 이야기를 한다. 과학이 아니라 과학 이야기. 듣고 말하는 그 순간만큼은 나도 그들처럼 멋진 과학자가 된 것 같은 착각에 빠진다. 리처드 파인만이다. 놔두고 돌아갈 수 없는 이름이다. 진짜 읽고 싶은 책은 따로 있었는데 재고가 없어 '파인만'이라는 이름이 제목에 적힌 책 전부를 샀다. 그래봐야 두 권 밖에 안 되지만. 리처드 파인만이 이 세상에 끼친 영향에 비해 서점에는 그의 이름이 지나치게 부족한 것 같다. 그는 무려 '대학원생' 시절에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이 책을 읽고 영화 를 보면 두 컷 정도에서 파인만으로 유추할 수 있..
하나라를 정벌한 건 동이족이었다. 동쪽의 활을 쏘는 오랑캐라는 뜻의 동이. 중국의 역사는 삼황오제라는 신화에서 시작하여 요, 순, 우, 탕이라는 전설의 시대로 접어드는데, '우'가 세운 나라가 '하', '탕'이 세운 나라가 '상'이다. 탕은 동이족이었고, 동이는 주로 수로를 이용한 무역으로 먹고살았다. 동이는 중국 땅에 최초의 왕조를 세운 사람들이자 상인으로 기록된 최초의 사람들이었다. 요, 순은 그 존재가 의심스러운 인물이고 우는 긴가민가하지만 탕만큼은 확실한 것 같다. 우는 요순시대에 대홍수를 관리한 곤의 아들이다. 이른바 '치수'라 부르는 그 사업에서 곤이 크게 실패하자 아들 우가 이어받아 대업을 완성한다. 순은 요가 아무런 혈연관계가 없는 자신에게 제위를 양보한 것처럼 당시에 가장 현명한 사람이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