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dPXsociety

생물학의 쓸모 본문

생물학의 쓸모

WiredHusky 2023. 9. 24. 10:31

학창 시절 내 선택 과목은 화학2였다. 수학 때문에 인생을 조진 사람이라 또 하나의 수학에 불과한 물리는 고려대상이 아니었다. 지구과학은 과학 같지가 않았고 생물학은 적어도 당시에는 끔찍한 암기 과목에 불과했다. 애당초 왜 이과를 간 걸까? 그건 무려 나의 '친부'가 이공계에도 인문학적 감수성이 풍부한 사람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과 진학을 종용했기 때문이었다.

 

화학2는 좀 달랐다. 이 학문은 지극히 논리적인 데다, 세상을 이해하는 열쇠를 쥐고 있었다. 고분자 화합물의 조립식을 유심히 들여다보고 있으면 5만 조각짜리 직소 퍼즐의 마지막 한 자리를 찾아낸 것과 같은 희열이 느껴진다. 프라모델이나 레고를 좋아한다면 화학을 싫어할 수가 없다. 게다가 세상 만물의 근본이 궁금한 인팁(INTP)이라면? 이 과목을 사랑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생물학의 쓸모>라니! 화학의 쓸모는 어디에 있는가? 어디 감히 신성한 과학의 영역에 암기 과목에 불과한 생물학 따위가 발을 디딘단 말인가!라고 하기엔 유전공학을 필두로 우리 삶에 밀고 들어온 이 학문의 영향력이 너무나 크다. 화학은 우리 삶과 너무나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어, 이를테면 공기와 같은 존재가 되어 버린 바람에 눈에 띄지 않지만 생물학은 양손에 질병과 노화의 해방을 쥐고 있어 외면하려야 외면할 수가 없는 존재가 되어버렸다. 게다가 대한민국은 한때 생물 복제에 관한 한 세계의 중심에 서 있지 않았는가!(황우석 나빠요)

 

 

세상의 근원에 어떤 과학이 더 가까운가 따지는 건 무의미하다. 과학에는 위계가 없다. 사실이 있을 뿐이다. 과학은 서로를 배척하지 않고 각자가 배운 것을 나누며 궁극의 진리에 다가선다. 모든 과학은 결국 물리학의 아류일 뿐이라느니, 순수과학과 응용과학을 나누려는 시도 같은 건 대부분 과학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분야의 호가사들이 하는 말이다.

 

우리 사회의 최소 구성단위를 생물이라고 본다면 세계에 대한 이해가 결국 생물학에 대한 이해로 귀결된다는 걸 알 수 있다. 물론 생물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가 원자이니 화학과 물리학이 앞선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겠으나 그건 마치 영화를 이해하기 위해 픽셀을 살펴봐야 한다는 말만큼이나 공허하다. 적어도 우리 같은 보통사람들에게는.

 

생물학은 그 간격을 좁혀주는 학문이다. 우리를 아주 먼 곳으로도, 그렇다고 너무 가깝지도 않은 곳으로 데려간다. 그리고는 아주 큰 눈을 끼워줘 생물을 지배하는 유전자와 생물계를 지배하는 다양한 미생물들의 존재를 밝혀준다. 현미경을 처음 발명한 사람들이 자기 손에 득시글한 세균을 처음 발견했을 때 느꼈을 충격과 환희를 상상해 본다. 그 후로 수많은 시간이 흘러 우리는 우리를 살리고 죽이는 미생물들과 그 사이에 거미줄처럼 얽혀있는 관계를 발견하게 됐다.

 

<생물학의 쓸모>는 세포에서 시작해 호흡으로 넘어가 생명활동을 정의한 뒤 DNA로 근원을 밝히고 미생물과 생태계로 여로를 확장해 나간다. 너무 심오하지도 가볍지도 않다.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수준 높은 패키지여행을 제공한다. 정말 쓸모 있는 생물학이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각본  (2) 2023.10.08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0) 2023.10.01
차이에서 배워라  (0) 2023.09.17
너무나 많은 여름이  (2) 2023.09.10
프로스트와 베타  (0) 2023.09.0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