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dPXsociety

신의 아이 본문

신의 아이

WiredHusky 2021. 10. 31. 11:26

누군가에겐 이유를 막론하고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이 있다. 내게는 코맥 매카시의 책을 읽는 게 바로 그것이다. 저작이 그렇게 많지는 않은데 국내에 소개된 작품만 고르면 더 줄어든다. 시간 순으로 보면 <핏빛 자오선>(1985), 일명 국경 삼부작으로 불리는 <모두 다 예쁜 말들>(1992), <국경을 넘어>(1994), <평원의 도시들>(1998), 이름만 들어도 가슴이 떨리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2005), <로드>(2006), 최초의 영화 시나리오 <카운슬러>(2013), 희곡 <선셋 리미티드>(2015), 마지막으로 이 책 <신의 아이>(2021)가 있다.

 

매카시의 소설은 난해하다. 특히 소설의 배경이 과거로 갈수록 심하다. 문체가 시적이라 상징이 많은 데다(매카시의 소설 속에선 멕시코 마약 카르텔 두목마저 셰익스피어가 된다) 그리고, 그리고, 그리고를 이어 붙여 문장을 길게 끌고 가는 탓에 읽기가 쉽지 않다. 거기에 번역의 한계까지 한 술 거들면 문장 하나를 집중해서 읽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불분명한 인칭대명사의 사용은 악명이 높다. 지금 말한 '그'가 도대체 누구인지 싶어 한참을 생각하거나 페이지를 되짚어가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카시를 읽는 이유는 그의 소설이 지닌 묵시록적 분위기 때문이다. 나는 그의 소설이 가진 문학적 가치는 전혀 이해하지 못한다. 그의 소설 속 인물들은 하나같이 어떤 답답한 행동을 고집스럽게 이어가는데 나는 이상하게도, 그 숙명성에 이끌린다. 그의 작품 세계를 한 단어로 요약하면 망설임 없이 inevitable이라 말하고 싶다.

 

 

<신의 아이>에서는 이런 생각이 좀 희석되는데 주인공의 악행이 너무 지나치기 때문인 것 같다. 레스터 밸러드는 시간과 살인, 방화를 눈 하나 깜짝하지 않고 저지르는 말종이다. 정상참작 요소는 딱 하나뿐이다. 마몬(돈을 상징하는 악마)의 아이들이 그를 그의 땅에서 내쫓은 것. 하지만 에덴에서 쫓겨났다고 아담과 이브가 보니 앤 클라이드가 됐던가?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의 매력적인 사냥꾼 루엘린 모스는 우연히 주운 돈 가방에 눈이 멀었고 그 대가를 치렀다. 그의 욕망은 충분히 공감할만하고 그 결과는 아쉽지만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런데 레스터 밸러드는? 그는 벌을 받지 않는다. 대학병원에서 폐렴 치료를 받다 편안히 숨을 거둔다. 그의 시체가 덜컹덜컹 잘려 해부학 교재로 이용되기는 하지만, 산 채로 그런 일을 당했어도 시원찮을 인간이지 않은가? 매카시는 레스터 밸러드를 향해 '아마도 당신과 다를 바 없는 하느님의 자녀'라 부른다. 다른 작품들에서 매카시의 인물들은 죄를 '짓는' 인간으로 나타난다. 죄가 인간의 선택이라는 말이다. 그런데 <신의 아이>에서는 인간이라는 존재 자체가 '죄'인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매카시에게 신이란 어떤 의미일까? 그에게 이 세상이 돌아가는 꼴은 신의 부재를 증명하는 명백한 증거일 것이다. 그런 면에서 '신의 아이'란 조롱의 의미로 들린다. 세상을 돌아보라. 인간이 어떻게 신의 피조물일 수 있는가? 신은 존재하지 않거나 있다 해도 우리를 낳은 게 아니다. 그러니 아무리 기도를 해도 사악한 인간이 벌을 받지 않는 것이다. 가장 희망적인 해석은 이 세상이 천국에 사는 진짜 신의 아이들이 죄를 지어 벌을 받기 위해 내려온 곳이라는 가정이다. 한때는 우리 모두 신의 아이였다는, 공허하고 무의미한 자위.

 

레스터 밸러드는 죽어서 어디로 갔을까? 많은 사람들이 살아생전 심판받지 않은 자들이 죽어서 가는 곳이 있다고 믿는다. 그렇게 믿어야만 레스터 밸러드의 죽음이 이해가 될 것이다. 그런데 그 말이 맞다면, 그건 우리 자신에게도 꽤나 잔인한 믿음 아닐까? 레스터 밸러드만큼의 악마는 아니지만 우리 모두 크고 작은 죄를 지으며 살아간다. 신의 아이로 착실히 살아왔다고 믿은 당신이 죽어서 레스터 밸러드를 만나면 어떤 기분이 들 것인가? 당신은 그를 만나지 않을 자신이 있는가? 신약 성서의 저자들은 이 점을 잘 이해하고 있었던 것이 분명하다. 그렇지 않다면 절대, 예수의 십자가 옆에서 회개한 강도의 이야기를 넣지는 않았을 것이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이전트 러너  (0) 2021.11.14
무덤의 침묵  (0) 2021.11.07
마지막 소년  (0) 2021.10.24
밤의 여행자들  (0) 2021.10.17
조선의 위기 대응 노트  (0) 2021.10.1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