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dPXsociety

미학자와 과학자가 벌이는 종합 격투기 - 크로스: 정재승 + 진중권 본문

미학자와 과학자가 벌이는 종합 격투기 - 크로스: 정재승 + 진중권

WiredHusky 2010. 8. 25. 12:30



<크로스: 정재승 + 진중권. 전직 카이스트 교수와 현직 카이스트 교수의 만남.
그런데 정재승은 살쪘네?>

정재승과 진중권은 모두 글깨나 쓰는 사람들이다. 글을 잘쓰냐 못쓰냐는 여러가지로 따져 볼 수 있겠지만 특히 쉽게 읽힌다는 점에서 두 사람의 글은 후한 평가를 받곤 한다.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와 진중권의 '미학 오디세이'가 각각 제 분야의 까다로운 전문 지식을 다루고 있음에도 그 특유의 가독성으로 마음을 사로잡았던 기억이, 나는 아직도 생생하다.

이런 면에서 이 책의 기획 의도는 명백하다. IT 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미디어의 탄생, 그리고 새로운 컨텐츠의 등장으로 촉발된 다양한 문화 현상의 빅뱅. 이 전례없는 사태에 대한 해석이야 말로 지금 우리가 원하는 스토리 텔링인 것이다.

 <대중 문화의 알파와 오메가...?>

그러나 대중 문화 비평이란 전혀 새로운게 아니다. 짧게는 발터 벤야민과 아도르노로부터 길게는 그 옛날 고대 벽화에 '요즘 애들은 참 버릇이 없어'라는 낙서가 등장했을 때 부터 지속되어 온 것이 바로 이 대중 문화 비평이다.

잔뼈가 굵은 출판 업계가 이런 사실을 모를리 없다. 그리하여 미학자이자 대중 문화 비평가이자 전직 교수인 진중권과 물리학을 전공했고 이제는 뇌과학을
연구중인 베스트셀러 과학자가 링 위에 올라선다. 인문학 vs 과학! 이건 확실히 구미가 당기는 얘기다. 이제 관객은 두 사람의 주먹이 제대로 충돌해 주기만을 바라며 두근대는 마음으로 책장을 넘긴다.

두 사람이 주고받는 펀치는 당연하게도 무척 대중적이다. 스타벅스에서 생수, 레고에서 애플, 셀카에서 개그콘서트까지 의(衣), 식(食), 주(主), 락(樂)! 생활 세계를 총망라한 다양한 문화 현상들은 미학자가 날리는 잽이 되고 과학자가 휘두르는 훅이 된다.

<우리 시대의 Icon>

그런데 가만히 보고 있으면 애초에 이 경기는 미학자에게 유리하게 보인다. 포괄적이고 보편적인 학(學)을 추구하는 인문학은 그 주제가 어떤 것이라 하더라도 나름의 답을 제시할 수 있다. 게다가 진중권은 오랜 기간 동안 대중 문화와 함께하고 그것을 연구해온 사람아닌가. 그에게 이런 일은 너무나 익숙한 작업이다.

그러나 과학자는 그렇지 못했다. 스물 한개의 소재 중 물리학과 뇌과학의 힘을 빌려 논술할 만한 것은 거의 없다. 정재승의 글이 현상의 뿌리를 파고드는 논문이 아니라 그저 담백한 에세이가 되고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우주 창조론이나 생명의 기원, 인간 복제와 윤리학의 문제 등 과학과 인간의 가치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이슈를 두고 두 사람의 대담이 진행됐더라면 어땠을까하는 아쉬움이 두고두고 남는다. 이런면에서
'크로스'의 기획 의도는 그 자체가 한계이기도 했다.

따라서 웅진지식하우스는 새로운 경기장을 지어야 한다. 이번에는 누구에게도 기울어지지 않은 - 아니 정재승 쪽으로 살짝 기울어도 괜찮다 - 평평한 경기장을 만들어 주길 바란다. 그리고 그 위에서 미학자 vs 과학자의 진정한 종합 격투기가 벌어진다면, 합체도 충돌도 미완성인 이 책의 허물쯤은 적당히 덮어둘 의향이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