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북유럽 인테리어
- 신자유주의
- 가구
- 주방용품
- 해외 가구
- 재미있는 광고
- 프로덕트디자인리서치
- 글쓰기
- 킥스타터
- 프로덕디자인
- 조명기구
- 일러스트레이터
- 조명 디자인
- 인스톨레이션
- 조명
- 피규어 디자이너
- 램프
- 조명디자인
- 피규어
- 아트 토이
- 애플
- 가구 디자인
- 인테리어 소품
- 가구디자인
- Product Design
- 일러스트레이션
- 인테리어 조명
- 미술·디자인
- 진중권
- 인테리어 사진
- Today
- Total
deadPXsociety
총, 균, 쇠 본문
<총, 균, 쇠>는 유라시아의 구세계가 어떻게 세계를 지배할 수 있었는지 이유를 탐구하는 책이다. 놀라운 두께에 질려버릴 수도 있지만 내용은 명쾌하다. 주장을 전개하고 예상되는 반박에 재반박하는 구조를 가지다 보니 어쩔 수 없이 반복되는 내용이 있고, 자연스럽게 두꺼워졌을 뿐이다. 어려운 내용은 정말 하나도 없다.
유라시아가 타 대륙보다 더 발전한 문명을 가질 수 있었던 결정적인 이유는 잉여농산물의 생산이었다. 잉여생산물은 필연적으로 분배의 문제를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복잡한 사회시스템 예컨대 법, 정치, 행정, 군사, 종교, 문자 등을 만들어낼 수밖에 없다. 조직을 운영해 본 사람은 3명만 모여도 엄청난 갈등이 생긴다는 걸 잘 알 것이다. 수 만, 수십 만 명을 하나의 국가로 묶어두기 위해선 정교한 사회 시스템과 특히 이 구성원들을 '같은 나라 사람'이라고 인식하게 만드는 고유의 '신념 체계'가 필요하다. 신화와 종교는 대부분 이러한 필요에 따라 '발명'되었을 것이다.(유발 하라리는 <사피엔스>에서 이 순서가 반대라고 주장한다) 잉여생산물은 생산에는 전혀 참여하지 않고 오직 이러한 사회 시스템을 유지 발전시키는 일에만 전념하는 전문가를 길러낼 수 있었다. 이로써 사회의 발전과 생산물의 증가라는 선순환 구조가 완성된다.
자, 인간이 모여있으니 이제 '균'이 등장할 차례다. 수렵, 채집 시기 인구는 적었고 그나마 띄엄띄엄 떨어져 살았기 때문에 전염병의 입장에선 아주 척박한 시대였다. 그런데 인간이 문명을 발달시키고 꽉꽉 모여 살아준 덕분에 최고의 환경이 마련됐다. 전염병은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에서 대규모 사상자를 만들어냈지만 반대로 이 역병의 시대를 견뎌낸 사람들은 자신의 튼튼한 면역체계를 후세에 물려줄 수 있었다. 이 균들은 결국 신대륙 침략시기 '쇠'보다 더 강력한 무기가 된다. 남북 아메리카의 원주민들은 총과 칼보다, 그들이 들여온 균에 훨씬 더 빠르게, 더 많이 죽었다.
이 강력한 균들은 야생 동물을 가축화하는 과정에서 옮아왔을 것으로 추정한다. 인간은 삶을 더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물소와 소 같은 농경 도구, 양, 돼지, 염소 같은 단백질원, 심지어 말 같은 전쟁 도구까지 다양한 야생 동물을 가축화했다. 얻는 것이 있으면 잃는 것이 있듯, 이 가축들은 인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몇몇 균들을 선물했다.
농경 사회로의 전환은 기술 사회로의 전환을 의미하기도 했다. 때로는 기술이 먼저, 때로는 농업이 먼저 앞서며 각종 도구와 기술의 발전을 촉진했다. 문명 발전의 최전선에 비로소 '쇠'가 등장하는 것이다. 호주에는 지구 최대의 철광석 광산이 있지만 그곳의 원주민들은 야금술을 발명하지 못했다. 그들이 결코 열등해서가 아니었다. 호주 대륙은 작물화할 수 있는 식물이 적었기 때문에 집약적 농경이 발달할 수 없었다. 게다가 사방으로 고립된 환경은 외부로부터 씨앗과 기술이 전파될 경로까지 차단해 버렸다. 반면 한 덩어리로 묶인 유라시아에서는 기술의 이동 속도가 훨씬 빨랐다. 특히 유라시아 대륙에서 기술의 격차는 곧 생존의 위기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들 국가들 사이에서는 좋은 기술을 최대한 빨리 받아들이거나, 심지어 훔치기까지 해서라도 발전하려는 압력이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이런 경쟁은 기술의 발전 속도를 당연히, 가속화한다.
그럼 이쯤에서 의문이 하나 들 것이다. 농업은 유라시아 대륙 국가들만의 전매특허였던가? 인간이 시작됐다고 알려진 아프리카에서는 오직 수렵, 채집만 할 뿐 농사를 짓지는 않았던 걸까? 아메리카에서 고도로 발달한 문명을 일으켰던, 잉카와 마야는 잉여생산물 없이 세워진 제국이었는가? 총, 균, 쇠의 관점에서만 보면 결국 유라시아와 타 대륙의 발전 속도의 차이가 인종간 우열에 근거한다는 주장을 하고 싶은 강한 유혹에 빠지게 된다. 제러드 다이아몬드는 이러한 생각에 단호히 '망상'이라고 일침을 가한다.
제러드 다이아몬드가 <총, 균, 쇠>를 통해 밝히고자 하는 것은 애초에 그 총, 균, 쇠가 어떻게 발달할 수 있었는가 하는 점이다. 이른바 현재의 상황을 만들어낸 궁극 원인을 찾는 것이다. 저자는 그것이 단순한 지리적 요인, 그러니까 운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아무리 우수한 인종이라도 땅을 바꾸지는 못한다. 운하를 만들고, 터널을 뚫어 지리를 바꾼다고? 그렇다면 애초에 운하 또는 터널을 만들게 했던 요인은 무엇인가? 사하라 사막의 원주민들에게는 운하를 만드는 기술보다는 사막에서 수분을 보존하고 보충하는 기술이 더 중요하다. 지역이 산으로 둘러싸여 어떻게 해서든 교통의 편의를 만들어야 했던 사람들에게는 터널을 만드는 기술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일종의 압력이 존재한다. 하지만 몽고인들에게는? 그들에게 터널 제작 기술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압력이 존재할 수 있었을까?
제러드 다이아몬드가 말하는 궁극 원인은 얼추 3개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그 땅에는 작물화할 수 있는 식물이 충분했는가. 둘째, 그 땅에는 가축화할 수 있는 동물이 충분했는가. 셋째, 대륙의 형태가 동서로 뻗어있는가, 남북으로 이어지는가. 특히 이 세 번째는 제러드 다이아몬드가 이 책에서 밝히는 가장 탁월한 통찰이 아닐까 싶다. 좀 더 자세한 이야기를 듣고 싶다면, <총, 균, 쇠>를 독파해 보기 바란다.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형제들에게 전화를 거네 (0) | 2024.08.25 |
---|---|
차별 비용 (0) | 2024.08.18 |
나 없이는 존재하지 않는 세상 (0) | 2024.08.04 |
바다는 잘 있습니다 (0) | 2024.07.28 |
미키7 (0) | 2024.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