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dPXsociety

평균의 종말_나는 평균적으로 내향적인 사람이다. 본문

평균의 종말_나는 평균적으로 내향적인 사람이다.

WiredHusky 2018. 6. 24. 11:25





평균의 종말은 미래 사회에 대한 예언이나 트렌드의 예측이 아니라 이 책의 저자 토드 로즈의 소망이자 사명이다. 저자는 이 세계를 해석하고 평가하는 지배적 방법인 평균의 폐해를 밝히고 그 대안을 제시해 우리가 평균의 허상으로부터 깨어나기를 촉구한다.


<평균의 종말>에서 주장하는 평균의 문제점을 극단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 국, 영, 수, 사, 과에서 각각 100점, 0점, 0점, 0점, 0점을 맞은 학생이 있다. 이 학생의 평균은 20점. 학교는 이 친구를 하위 5%의 구제불능 멍청이로 분류한 뒤 정상적인 학업 성취가 불가하다고 판단, 교사가 거의 관리하지 않는 열반(포기반)으로 보낸다. 이렇게 미래의 노벨상 후보 하나가 우리 삶에서 사라진다.


오늘날 평균은 한 사람의 능력과 가치, 심지어 성격과 성향마저 대변하는 무소불위의 지표가 됐다. 많은 학교와 기업에서 진행하는 인적성검사를 보자. 당신은 새로운 친구를 사귀는데 종종 어려움을 겪습니까? 매우 그렇다(내향적). 당신은 도전적이고 새로운 일을 맡는 걸 좋아합니까? 그렇다(외향적). 인적성검사는 다양한 맥락에서 내놓는 완전히 모순적인 답들을 합산해 평균을 낸다. 이로써 나는 모든 상황에서 대체로 내향적인 인간이 된다(매우 내향적을 -50으로 외향적을 40으로 보면 내 평균은 -5로 대체로 내향적인 인간이 된다).


평균으로 설명하기에 인간은 너무나 다면적이다. 쉽게말해 인간의 능력과 성향은 상황과 맥락에 따라 매우 들쭉 날쭉한 것이다. 평균은 이 개성을 꾹꾹 눌러 펴 나와는 어느 한 부분도 닮지 않은 기이한 초상화를 그려준다. 그렇다면 이런 방법들이 우리 세계에 이토록 깊숙히 뿌리내린 이유가 뭘까? 그건 천문학계에서 이름을 날릴 기회를 놓친 한 과학자의 극적인 피봇(pivot)을 통해 시작됐다. 아돌프 케틀레. 바로 그 주인공의 이름이다.


케틀레는 전세계가 혁명의 소용돌이에 휩싸인 시대에 천문학자가 되고자 했던 불운한 남자였다. 케틀레의 소망은 하루빨리 사회가 안정되어 예전처럼 왕의 후원으로 천문학을 연구할 수 있게 되는 것이었는데, 그러다 문득 이 혼란한 사회를 설명하는 과학적 방법은 없을까? 라는 의문이 들었다. 그리고 그 순간 케틀레의 꿈은 사회학 분야의 아이작 뉴턴이 되는 것으로 대격변을 이룬다.


이 시기는 인류 최초로 빅데이터가 쏟아지기 시작한 시대이기도 했다. 케틀레는 이런 통계를 해석하는 방식으로 평균을 도입한다. 어떤 연구 결과나 고뇌의 산물이 아니라 그저 천문학계의 관행이었다는 이유로 말이다. 당시 천문학자들은 천체의 속도를 재는 과정에서 관측자마다 서로 다른 결과가 나오는 것에 당혹감을 느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각각의 결과에 평균을 냈던 것이다! 그들은 이 평균이 실제 천체의 속도와 가장 가까운 수치라고 믿었기에 인간 또한 가장 이상적인 인간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생각은 복잡다단한 인간을 정형화시켜 그 본질을 한 눈에 파악하려는 인간의 기본적 충동과 맞물려 사회 과학계의 주류로 떠오른다.


얼마나 놀라운 일인가!


이러한 사고는 표준화된 제품을 대량생산하는게 유일한 목표인 산업시대에 이르러 폭발적인 확산이 이뤄졌다. 훌륭한 CEO라면 누구나 자신의 공정을 표준화했고 이 표준화된 방식을 잘 수행할 수 있는 표준화된 인재를 채용하려 했다. 그리고 이 회사들에 인재를 공급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바로 근대의 교육제도였다. 이제 학교가 왜 그렇게 지루하고 짜증이 나는지 알겠는가?(이와 관련된 유튜브 영상이다. 강추, 또 강추! https://www.youtube.com/watch?v=-qbYv9BX0UI)


회의주의의 창시자인 버틀란드 러셀은 "인간만사에는 오랫동안 당연시해왔던 문제들에도 때때로 물음표를 달아볼 필요가 있다" 고 말했다. 지금까지 평균이 심대한 도전을 받지 않은 이유는 그것과 연계된 세상이 너무나 광범위했고 그 방법이 너무나 간단명료했기 때문이다. 만약 토드 로즈가  ADHD의 고교 중퇴생이 아니었다면, 그가 수 많은 우여곡절을 이겨내고 결국 하버드 교수가 되지 않았다면 아마 이런 책은 나오지 못했을 것이다. 


생각해보면 사회에 균열을 내고 패러다임의 전환을 일으키는 건 결국 아웃사이더의 몫이었다. 인간의 진화 또한 매번 똑같은 형질을 물려주는 DNA가 아니라 심각한 돌연변이를 통해 시작되지 않는가? 그러니 우리가 이 세상이 정한 훌륭한 사회인의 '평균적 이상'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고 해서 슬퍼하지 말자(좋은 대학을 졸업하고 좋은 회사에 취업하고...). 우리가 추구해야 할 삶은 바로 나 자신이다. 나 자신의 특이성을 발견하고 그 특이성을 갈고 닦아 누구와도 닮지 않은 나를 만드는 것. <평균의 종말>은 오늘도 이런 삶을 위해 힘쓰는 우리 모두를 응원한다.

Comments